본문 바로가기
럽줴이 서재

(책 리뷰) 트렌드 코리아 2023. 2023년 10대 소비자트렌드 키워드

by 럽줴이 2023. 2. 2.

 

* 책 리뷰는 책에 대한 스포를 많이 하지 않는 선에서 책을 읽고 인상 깊었던 이야기와 저의 솔직한 느낀 점을 리뷰 하였습니다.

 


밀리의 서재

 

오늘은 2023년이 점점 다가오고 있는 지금 이 시점에 꼭 읽어야 할 도서를 읽어봤습니다. 바로바로 '트렌드코리아2023'인데요, 2023년 트렌드를 어떻게 분석했는지 궁금해서 읽어봤습니다.

 

책의 내용을 보면 요즘 트렌드에 대해 분석해 놓은 것들을 정말 많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시대와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전쟁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 사회와 국제사회의 정세 흐름에 따른 트렌드도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어떤 사회가 형성되며 변화하고 있는지 이 책을 통해서 적나라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3'의 내용은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에 사회 변화 경제 흐름에 따라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시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2023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를 살짝 소개해 드리며 제가 인상 깊었던 내용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2023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 RABBIT JUMP
트렌드코리아2023
  • 평균 실종 edisribution of the Average
  • 오피스 빅뱅 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 체리 슈머/체리피커 Born Picky, Cherry-sumers
  • 인덱스 관계 Buddies With a Purpose: 'Index Relationships
  • 뉴 디맨드 전략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 디깅모먼템 Thorough Enjoyment: 'Digging Momentum'
  • 알파세대 Jumble Alpha Generation
  • 선제적대응기술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e
  • 공간력 Magic of Real Spaces
  • 네버랜드 신드롬 Peter Pan and the Neverland

'10대 소비트렌드'에 대해 제목만 이야기해 봤는데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인터넷이나 책을 통해서 읽어 보시면 유익한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트렌드 코리아 2023'을 읽으며 제일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평균 실종
트렌드 코리아 2023

 

큰 제목으로는 소비의 전형성이 사라지는 시대의 트렌드 안에 한국 사회의 방향선 전환과 불황에 따른 시장의 변화, 그중에서도 ‘평균 실종’이라는 소주제가 이 글을 읽으며 인상 깊었습니다.

여기의 내용을 보면 대표적으로 이렇게 말하고 있다. 

평균이 사라지고 있다.

트렌드 코리아 2023

“정확히 표현하면 집단을 대표하는 평균값이 무의미해지고 있다.”라고 이야기한다. 평균이 기준성을 상실하는 경우는 1. 양극화 2. N 극화 3. 단극화로 구분된다고 말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차별적인 영향이 미치면서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해 양극화가 가속화되었다. 

양극화의 가속화로 인해 우리가 예전에 흔히 하는 말인 "보통 그렇지 않아?" "일반적으로, 대게, 평균적으로 그렇지 않나?"라고 말하는 것이 불편해졌다. 

이제는 사회가 사람들의 생각과 스타일, 먹는 음식 등 모든 것이 평균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나도 요즘은 사람들과 있을 때에는 내 생각과 다름을 인정하고 사는 것 같다. 

그리고 재미있는 것은 이런 양극화가 당연하게도 경제와 소비, 직장에도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요즘처럼 경기가 위축되면서 몇 년 전 FLAX, 욜로에서 짠 테크로 이동하면서 경제와 소비심리가 극에서 극으로 이동되는 현상도 일어났다. 모든 것이 평균이 아닌 이런 경제 부분에서도 양극화가 심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심지어 평균이 없어지다 보니 직장에 대한 생각도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 제일 크게 변화되고 있고 주목할 만한 점인 것 같다. 

예전의 사회는 무조건 취직 직장 정직원이라는 개념으로 살아왔는데 요즘의 사람들의 생각은 특히 MZ 세대의 마인드는 퇴직하는 사람들, 정직원이 아닌 나의 시간을 확보하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곳에 더 의의를 두고 비정규직을 더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좋은 점과 불편한 점이 많이 생겨날 것 같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스스로 해볼 것이다.

나아가 사람들의 평균이 사라지고 있는 요즘 보는 것, 듣는 것, 먹는 것, 사는 곳, 소비, 음악, 경제, 직장 모든 것의 평균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비즈니스 하는 사람들의 소비자의 심리 트렌드를 잘 파악하면 좋을 것 같다. (사람들이 개인적인 생각들이 많아서 여러 종류의 맞춤 브랜드가 많이 나올 것 같기도 하다.) 

나는 '트렌드코리아2023'을 읽으며 너무 재미있었다. 이 책을 읽는 동안은 시간이 엄청 빠르게 지나간 것 같다. 이미 내가 하고 있었던 것도 있었으며 " 아, 요즘에는 이런 트렌드가 있구나."라는 생가도 들기도 하며 앞으로의 트렌드는 또 어떨까? 나아가 앞으로의 대한민국 더 나아가 이 세계는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 생각하며 기대가 되기도 하며 한편으로 걱정되는 마음으로 아찔하기도 하다. 

세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무엇 하나가 가속화될 경우 그에 상응하는 장단점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걱정보다는 앞으로의 다가오는 세계와 트렌드를 기대하고 사는 쪽이 나은 것 같으니 앞으로를 기대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영상으로 먼저 보시고 싶은 분들은 영상을 봐도 좋을 것 같다.

잘 읽혀요★★★★★

추천해요★★★★★

재밌어요★★★★★

유익해요★★★★★